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개발입문12

토큰이냐 세션이냐, 그것이 인증의 문제로다! 🔐 인증 방식 쉽게 비교하기 안녕하세요 logro 입니다 :)오늘은 로그인할 때 자주 들리는 용어,“세션 기반 인증”과 “토큰 기반 인증”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해요.이 둘은 로그인 후 인증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인데,처음엔 이름도 비슷하고 개념도 헷갈리기 쉽죠 😵‍💫하지만! 비유와 함께 하나씩 살펴보면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🔍🏪 먼저 비유부터 들어볼까요?로그인을 놀이공원 입장이라고 생각해봅시다 🎢🎟️ 세션 기반 인증→ 놀이공원에서 입장권을 티켓박스에 맡겨놓고,입장할 때마다 “저 티켓 맡긴 사람입니다~” 하고 인증하는 방식!사용자는 브라우저에 세션 ID 쿠키를 가지고 다녀요.서버는 그 세션 ID를 보고 “아, 이 사용자 세션 있네!” 하고 입장 허용세션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됨💳  토큰 기반 인증 (JWT 등)→ 티켓.. 2025. 4. 12.
2단계 인증 끝났더니 자동 로그인?! 그 비밀, 알려드립니다 ✨ 안녕하세요 logro 입니다 :)요즘 거의 모든 서비스가 2단계 인증(2FA)을 사용하죠.로그인할 때 문자, 인증 앱, 이메일로 추가 확인 절차를 거치면보안이 훨씬 더 강력해져요 💪그런데 이런 경험, 해보셨죠?인증코드만 입력했을 뿐인데👉 자동으로 로그인 완료!👉 바로 대시보드나 홈 화면으로 쓱~ 넘어감! “어? 내가 ‘로그인’ 버튼도 안 눌렀는데 어떻게 알았지?”신기하면서도 약간은 마법 같은 이 흐름…사실은 아주 논리적으로 잘 짜인 구조 덕분이랍니다 😎🧭 흐름 먼저 정리해볼게요!사용자가 아이디/비밀번호 입력서버가 확인: “이 사용자는 2단계 인증도 해야 함!”2FA 페이지(또는 앱)로 전환인증코드를 입력하거나 앱 푸시 ‘승인’인증 성공하면 → 자동 로그인 상태로 전환!🧠 이게 가능한 이유는?바.. 2025. 4. 12.
서버야, 버텨줘…! 디도스 공격이 뭐길래 사이트가 마비될까? 안녕하세요 logro 입니다 :)웹사이트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아예 접속이 안 되는 현상,한 번쯤 겪어보셨죠?이럴 때 자주 등장하는 범인이 바로 디도스(DDoS) 공격입니다!근데 이 디도스, 이름부터 좀 낯설죠?지금부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🚀🤔 디도스가 뭐예요?디도스(DDoS)는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의 줄임말로,우리말로 하면 “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”이에요.쉽게 말하면:"너무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와서 서버가 버티질 못하고 뻗는 것!" 근데 이건 실제 사람들이 몰리는 게 아니라,악의적인 공격자가 수천~수만 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조종해서의도적으로 서버에 과부하를 거는 거예요 😡💡 비유하자면?상점에 예를 들어볼게요.평소엔 하루에 100명이 오는 가게가 있어요.그런데.. 2025. 4. 12.
클라우드 컴퓨팅, 도대체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? ☁️ 안녕하세요 logro 입니다 :)요즘 "클라우드 컴퓨팅"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?AWS, Azure, Google Cloud… 다 좋은데 도대체 이 클라우드는 어디서 어떻게 나오는 걸까? 궁금하셨다면 오늘 글이 딱이에요!우리가 알고 있는 그 ‘클라우드’는 그냥 하늘 위 구름이 아니라,인터넷을 통해 서버나 저장공간 같은 컴퓨터 자원을 빌려서 쓰는 거예요.쉽게 말해서,내 컴퓨터에 저장하지 않고, 다른 사람(=클라우드 회사)이 관리하는 컴퓨터에 저장하고 작업하는 거예요!☁️ 클라우드는 어떻게 우리에게 제공될까?클라우드는 생각보다 똑똑하게 세 가지 방식으로 나뉘어 제공돼요!🛠️ 1.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서버를 통째로 빌리는 느낌!CPU, 메모리, 저장소, 네트워크 등.. 2025. 4. 8.
GitHub가 뭐길래 다들 쓰는 걸까? 초보자를 위한 깃허브 입문 가이드 🐣 안녕하세요 logro 입니다 :)오늘은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GitHub(깃허브) 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!처음 듣는 분들도 있을 수 있으니, 최대한 쉽게 설명해볼게요 💡🧠 GitHub란?GitHub는 버전 관리 도구인 Git을 웹에서 쓸 수 있게 도와주는 서비스예요.마치 ‘코드 저장소 + 협업 툴’을 합쳐놓은 것 같다고 보면 됩니다!📦 쉽게 말해, 내 코드를 안전하게 저장해두고, 필요할 때 언제든 꺼내 쓸 수 있는 온라인 금고라고 생각해보세요!🔄 Git과 GitHub의 차이는?여기서 잠깐!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이 있는데요 👀Git 👉 내 컴퓨터에서 파일의 버전을 관리하는 프로그램GitHub 👉 Git으로 관리한 코드를 웹에서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공간즉, Git은 도구, G.. 2025. 4. 4.
라운드로빈? 줄 서서 하나씩! 쉬운 CPU 스케줄링 이해하기 🍭 안녕하세요 logro 입니다 :)오늘은 운영체제에서 자주 등장하는 CPU 스케줄링 기법 중 하나인 라운드로빈(Round Robin)에 대해 알아볼게요! 🍽️ 라운드로빈이 뭐예요?라운드로빈(Round Robin, RR)은 공정하게 CPU 시간을 나눠주는 스케줄링 방식이에요. 마치 놀이공원에서 친구들이 놀이기구를 탈 때 한 명씩 돌아가면서 타는 것처럼, 모든 프로세스가 번갈아가며 CPU를 조금씩 사용하게 해요.쉽게 말하면:"한 프로세스가 너무 오래 CPU를 차지하면 안 되니까, 일정 시간만 쓰고 다음 프로세스로 넘기자!" 이런 철학을 가지고 있어요. 😉⏱️ 시간 할당(Time Quantum)라운드로빈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시간 할당량(Time Quantum)이에요.예를 들어, 시간 할당량이 2초라면.. 2025. 4. 4.
반응형